반응형 서울시지원5 서울시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신청 대상, 내용, 신청방법 정리 서울시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서울시에 거주하는 사실혼을 포함, 모든 난임부부는 소득과 상관없이 을 신청하면, 서류 확인 등의 절차를 거쳐 지원받을 수 있다. 본 지원 사업은 2023년 7월 1일부터 확대시행되며, 소득기준과 시술 간 칸막이가 폐지된다. 따라서 22회 시술 및 회당 최대 110만 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신청은 온라인으로 [정부24], [e보건소 공공포털]에서 신청하거나, 거주하는 각 자치구 보건소에 전화, 또는 방문 상담하면 된다. 1. 신청 대상 ●대상: 서울시 거주(6개월 이상) 모든 난임부부(사실혼 포함) ●거주기간: 부부 중 여성 난임자의 주민등록 거주 정보 확인. ※ 서울시 6개월 미만 거주 및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난임부부: 기존 국가형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유.. 2023. 8. 28. 서울시 난자동결 시술비용 지원 대상, 내용, 신청 방법 정리 서울 난자동결 시술비용 지원 서울시는 20~49세 여성에게 난자 채취를 위한 사전 검사비 및 시술비용 200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을 시행한다. 대상은 임신과 출산을 염두, 가임력 보존을 원하는 6개월 이상 서울시 거주 여성이다. 일부는 소득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난소기능검사 점수가 일부 적용된다. 본 지원 사업은 오는 9월 1일 이후 시술부터 적용되며, 난자채취 완료 후 신청 가능하다. 1. 지원 대상 ●대상: 서울시 6개월 이상 거주 여성(20 ~ 49세). [만나이 계산기] ●인원: 300명 2. 지원 내용 ●지원금: 최대 200만 원. 난자 동결 시술 비용 50% 지원 ●회차: 생애 1회. ※ 9월 1일 시술부터 적용함. ※ 보관료, 입원료 및 난자 채취와 상관없는 검사비는 제외함. ※ 일.. 2023. 8. 28. 23년 1인 자영업자 소상공인 고용보험료 지원사업 내용, 신청방법 정리 1인 자영업자 고용보험료 지원 사업 지원 사업은 서울시 소재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이 대상이다. 현재 '자영업자 고용보험'에 가입한 고용원(직원)이 없는 1인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며, 납입 고용보험료의 30%를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5년간 보험료 최대 80%를 환급받을 수 있으며, 영세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서울특별시 소상공인 지원에 관한 조례」제10조의 3에 조례 근거에 따라 시행한다. 환급금 지원은 서울시 30%는 동일하게 지원받지만, 정부 50% 지원은 중소벤처기업부가 기준보수(1~2등급 50%, 3~4등급 30%)에 따라서 차등적으로 지원한다. 1. 지원 내용 ■지원 금액: 월 납입 보험료 30%를 환급 지원. ●신청일이 속한 연도의 1월 납부 분부터 소급하여 지원. ■지.. 2023. 4. 14. 서울시 소상공인 안심금리자금 지원내용, 대상, 신청방법 1. 지원 내용 서울시가 변동폭이 큰 고금리 상황 속에서 경영위기를 겪고 있는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기 위해 총 7,000억 원 규모의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업체당 최대 1억 원까지 지원하며, 서울시가 3고(고물가·고금리·고환율)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직격탄을 맞고 있는 소상공인에게 평균 3.7% 고정금리로 자금을 융자해 준다. 소상공인이 안심하고 경영활동에 힘껏 몰두하도록 한다는 취지이며, 대출금은 1년 거치 4년 균등분할로 상환하면 된다. 서울시 안심금리자금은 서울시 소재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서울시는 안심금리자금 사업을 통해 소상공인의 실부담 금리가 시중 금리보다 1% 이상 낮아질 것으로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예를 들어 3,300만 원 융자 가.. 2023. 4. 9. 이전 1 2 다음 반응형